-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84)
작심삼일
에러 ImportError: Missing optional dependency 'xlrd'. Install xlrd >= 1.0.0 for Excel support Use pip or conda to install xlrd. pd.read_excel을 쓰다보면 종종 만나는 에러다. 해결 방법 pip install xlrd 간단히 해결 번외로 저렇게 해도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XLRDError: Excel xlsx file; not supported 그럴때는 이렇게 'openpyxl'을 설치해주고 pip install openpyxl pd.read_excel에 engine='openpyxl'을 추가하면 된다.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94 문제 지민이는 길이가 64cm인 막대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그는 길이가 Xcm인 막대가 가지고 싶어졌다. 지민이는 원래 가지고 있던 막대를 더 작은 막대로 자른다음에, 풀로 붙여서 길이가 Xcm인 막대를 만들려고 한다. 막대를 자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절반으로 자르는 것이다. 지민이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막대를 자르려고 한다. 지민이가 가지고 있는 막대의 길이를 모두 더한다. 처음에는 64cm 막대 하나만 가지고 있다. 이때, 합이 X보다 크다면, 아래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가지고 있는 막대 중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절반으로 자른다. 만약, 위에서 자른 막대의 절반 중 하나를 버리고 남아있는 막대의 길이의 합..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26 문제 옛날 옛적에 수학이 항상 큰 골칫거리였던 나라가 있었다. 이 나라의 국왕 김지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고 큰 상금을 걸었다. 길이가 N인 정수 배열 A와 B가 있다. 다음과 같이 함수 S를 정의하자. S = A[0] × B[0] + ... + A[N-1] × B[N-1] S의 값을 가장 작게 만들기 위해 A의 수를 재배열하자. 단, B에 있는 수는 재배열하면 안 된다. S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에 있는 N개의 수가 순서대로 주어지고, 셋째 줄에는 B에 있는 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A와 B의 각 원소는 100보다 ..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18 문제 지민이는 자신의 저택에서 MN개의 단위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M×N 크기의 보드를 찾았다. 어떤 정사각형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나머지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지민이는 이 보드를 잘라서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만들려고 한다. 체스판은 검은색과 흰색이 번갈아서 칠해져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각 칸이 검은색과 흰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 있고,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정의를 따르면 체스판을 색칠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맨 왼쪽 위 칸이 흰색인 경우, 하나는 검은색인 경우이다. 보드가 체스판처럼 칠해져 있다는 보장이 없어서, 지민이는 8×8 크기의 체..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두 번째 호출한 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vaDf/btrjCTgVXGt/9aZMhBoUrNwSTaepzsiyj1/img.png)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146 문제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 이 나라의 대통령은 섬을 잇는 다리를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인기몰이를 해 당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막상 대통령에 취임하자,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생색내는 식으로 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 하나만을 만들기로 하였고, 그 또한 다리를 가장 짧게 하여 돈을 아끼려 하였다. 이 나라는 N×N크기의 이차원 평면상에 존재한다. 이 나라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이란 동서남북으로 육지가 붙어있는 덩어리를 말한다. 다음은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의 지도이다. 위의 그림에서 색이 있는 부분이 육지이고, 색이 없는 부분이 바다이다. 이 바다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yld4/btrh6Jm4r0G/ykITYU0fSNFRB06sbz59M1/img.png)
My Opinion TTS 쪽 논문 중 하나인 HiFi-GAN을 읽다가, HiFi-GAN의 구조 중 하나가 MelGAN을 따라 했다는 부분을 보고 MelGAN을 읽게 되었다. MelGAN 이전의 논문을 읽지않아서 이 논문의 novelty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mel-spectrogram에서 audio를 만드는 이 분야에서 GAN을 처음으로 적용했다 하니, 그것이 이 논문의 novelty가 아닐까 싶다. Discriminator에서 multi-scale 구조를 사용했는데, 이것이 vision 쪽의 Laplacian Pyramid와 비슷한 개념인 것 같다. 그렇다면 왜 3단계만 사용했는지에 따른 궁금증이 온다. 파라미터수와 그 성능 사이의 trade off에 관한 실험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YImh/btrhzsAvkhn/FWRNzwhJ2f0iaFvun1adK1/img.png)
My Opinion 발화 음성이 다양한 주기의 신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discriminator를 여러 개의 sub-discriminator로 구성했다. Generator는 MRF, discriminator는 MPD와 MSD로 이루어져 있다.또한, 성능을 높이기위해 3종류의 loss를 사용했다. (GAN loss, Mel-spectrogram loss, Feature Matching loss)이 loss들은 자주 사용되는 loss인데도 불구하고 21년이 된 지금까지, 20년에 만들어진 이 HiFI-GAN보다 성능이 좋은 모델이 없다는 것이 대단하다. 그 이유는 아마 discriminator를 sub-discriminators로 만든 것에 있지 않을까 싶다. Introduction 최근 neural n..